to 부정사 추가 (중3) /41

2023. 1. 29. 09:15카테고리 없음

to부정사는
to+동사원형
또는 to+have p.p가
명사 자리인 주어, 목적어, 보어
형용사 자리인 명사 수식, 보어
부사 자리인 형용사 수식, 부사 수식, 동사 수식, 문장 전체수식, 판단의 근거, 목적, 감정의 원인, 조건, 양보, 결과의 용법을 가지는 것입니다.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에
too ~ to ....
~ enough to..... 가 있습니다.

too ~ to....는
너무 ~해서 to ... 할 수 없다.
= so ~ that 주어 can't ....

She was too sleepy to do her homework.
= She was so sleepy that she couldn't do her homework.
(과거시제이므로 can 이 아닌 could를 씁니다)

I am too busy to eat breakfast.
= I am so buy that I can't eat breakfast.



~ enough to ...
충분히 ~ 해서 ... 할 수 있다.
= so ~ that 주어 can ...

Mr. and Mrs. Kim are rich enough to travel around the world.
= Mr. and Mrs. Kim are so rich that they can travel around the world.

It is bright enough to read books.
= It is so bright that we can read books.
to 부정사를 행동하는 주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면
일반인 we, you, they, people을
의미상의 주어로 생각하면 되고
의미상의 주어가 필요해지면
to 부정사 앞에
전치사 for와 함께 쓰면 됩니다.


The suitcase is too heavy for me to carry.
=The suitcase is so heavy that I can't carry it.
(carry의 목적어 자리에 the suitcase 를 지칭하는 대명사 it을 써주어야 합니다. so~that은 복문이므로 앞의 the suitcase를 that 이하에서도 언급해 주어야 합니다.



seem + to 부정사
seem + 단순부정사 (to + 동사원형)
seem + 완료부정사 (to + have p.p)

seem 뒤에 어떤 형태가 오느냐에 따라
절로 바꿀 때 시제가 달라집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seem 주절과 종속절의 시제가 같다면
단문으로 바꿀 때 단순부정사 to+동사원형 형태가 되고
seem 주절과 종속절의 시제가 다르면
단문으로 바꿀 때 완료부정사 to have p.p 형태가 됩니다.


예문으로 보면 좀 더 이해됩니다.
seem의 시제와 뒷 절의 시제에 집중해야 합니다.

It seems that he is sick.
seem 시제와 that 절 시제가 같습니다.
It seems that he is sick. (복문)을
단문으로 바꾸면
that 절의 주어 he를
주어로 꺼내오고
seem은 그대로 내려쓰고
주절, 종속절의 시제가 같으므로 단순부정사 to+동사원형
He seems to be sick. (단문)이 됩니다.


시제가 같은 예문을 하나 더 보겠습니다.
It seemed that he was sick. (복문)
종속절의 주어를 앞으로 가져오고
seemed를 그대로 쓰고
주절 종속절의 시제가 같으므로 단순부정사 to+동사원형
He seemed to be sick.

그럼
It seems that they take a walk.
It seems that they took a walk.
두 문장은 수업시간에 이야기해 보도록 합시다.

이제
시제가 다른 예문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It seems that he was sick. (복문)
종속절 주어 he를 가져오고
seems를 내려쓰고
주절 종속절 시제가 다르므로 완료부정사인 to have p.p
He seems to have been sick. (단문)


It seemed that he had been sick. (복문)
종속절 주어 he를 앞으로
seemed를 그대로 쓰고
주절 종속절 시제가 다르므로 완료부정사 to have p.p
He seemed to have been sick. (단문)




to 부정사가 목적격보어로 쓰이는 경우도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적보어 자리에 to 부정사가 올 수 있습니다.
I want you to study harder.
I expect them to help others.
to부정가 목적격보어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그런데 본동사 자리에
지각동사 ( feel, see, hear, listen to, watch, notice...)
또는
사역동사 (have, let, make...) 오면
목적격보어 자리에 to 부정사는 오지 못합니다.


He saw Jane cross the street.
She heard the bird sing.
I made my son clean his room.
They had the students run in the playground.


지각동사의 목적보어 자리에는
to 부정사는 안되고
능동일 때는 동사원형 또는 ing
수동일 때는 p.p를 사용합니다.
He heard Jane singing a song.
He heard a song sung by Jane.

사역동사의 목적보어 자리에는
to 부정사도 ing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능동일 때는 동사원형
수동일 때는 p.p를 사용합니다.
He had Jane clean her room.
He had her room cleaned by Jane.


또 알아두어야 할 것은
get은 사역동사지만 to 부정사만 올 수 있고
help(준사역동사)는 to 부정사와 동사원형만 올 수 있습니다.
He gets Jane to do her homework.
He helps Jane (to) do her homework.


의미상의 주어에 대하여
추가적인 공부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 expect Tom to study math.
에서 보면
to study math 할 주체는 Tom입니다.
Tom은 이 문장에서 목적어이지만
to study math에 대해서는 주어로도 해석됩니다.
이걸 우리는 의미상의 주어라고 부릅니다.
Tom은 to study math의 의미상의 주어입니다.

위와 같이
목적어가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It is important to master English. 에서
to master English 하는 주체가 누구인지 없는 경우
우리는 일반인 주어가 있다고 보고
to master English 의 의미상의 주어는 일반인 이라고
생각하고 해석하면 됩니다.

그런데 이 문장을 꼭 짚어
Tom에게만 한정해서 말하고 싶다면
It is important to master English.
에서 to 부정사 앞에 for+목적격의 형태로
써주면 됩니다.
It is important for Tom to master English.

대부분의 의미상의 주어는
for + 목적격의 형태입니다.

그러나,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
kind, nice, foolish, rude 같은 단어가 오면
of + 목적격의 형태를 사용합니다.
It is nice of him to help others.
It was foolish of her to do such a thing.


to 부정사 하는데 ~~의 시간이 걸리다
라는 문장을 보면
It takes me three hours to go there.
이 문장에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를 드러내고 싶다면
It takes three hours for me to go there.
이렇게 쓰면 됩니다.


to 부정사의 부정은
to 부정사 앞에 not을 쓰면 됩니다.

She told me to eat more.
to 부정사를
부정하면
She told me not to eat more.

전체문장을 부정하면
She didn't tell me to eat more.

이 두문장의 해석은 어떻게 달라질지
고민해서 수업오도록 합시다.


독립부정사가 있습니다.
이것은 to 부정사의 어떤 형태가
숙어처럼 굳어진 것입니다.
to 부정사가 독립적인 뜻을 가지고 문장전체를 수식합니다.
to tell truth 사실대로 말하자면
to begin with 우선, 먼저
to make matters worse 설상가상으로
so to speak 말하자면
strange to say 이상한 얘기지만

수업 오면서 예문을 만들어오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