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의 형식 (넓고 얕은 지식)

2023. 5. 14. 19:24영문법

넓고 얕게
문장의 형식에 대해 알아봅시다.


부사는
문장형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부사는 아무리 많아도
counting하지 않습니다.

부사는
장소, 방법, 시간을 나타내거나

동사수식,
형용사수식,
부사수식,
문장전체수식을 하거나

판단의 근거,
감정의 원인,
목적,
조건,
양보,
결과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영어문장은
1,2,3,4,5형식 안에서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
 
문장은 본동사(=서술어=동사)를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단문은
주어와 본동사로 구성됩니다.
 
중문은
단문과 단문을
등위접속사(and, but, so...)로
연결한 것입니다.
 
복문은
주어+서술어(동사  = 본동사)
구조를 가진 한 문장 안에
또다른 주어+동사를 가진
"절 (=종속절) "이
내포되어 있는 문장입니다.

이 절(주어 동사가 있는 것을 "절"이라고 합니다)은
부사절일수도,
명사절일수도,
형용사절일 수도 있습니다.
 
주어 동사가 있는 것을
"절"이라고 하고,
주어 동사의 구별없이
단어들이 모여있는 것을
"구"라고 합니다.
 


1,2형식을 이루는 동사를
자동사라고 합니다.
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없는
동사입니다.
그리고
보어가 필요없으면
완전이라고 하고
보어가 필요하면
불완전이라고 합니다.
 
 
1형식
주어+서술어(동사)
이때의 동사를
완전 자동사라고 부릅니다.
 
2형식
주어+서술어(동사)+주격보어 
이때의 동사를
불완전 자동사라고 부릅니다.
주격보어는
주어와 동일 (명사보어)하거나
주어의 상태를 보충설명 (형용사보어) 합니다.
서술어(동사)가 감각동사일 때 + 형용사를 하는데
감각동사 뒤에
명사를 쓰고 싶으면
감각동사 + like (전치사) + 명사로 써야합니다.
 
3형식부터는
목적어가 있습니다. 
3,4,5형식 동사들은
목적어가 있습니다.
이 동사들을 타동사라고 부릅니다.
목적어가 있는
3,4,5형식 문장은
수동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
능동태의 목적어가 수동태의 주어가 되기 때문입니다.
 
 
3형식
주어+서술어(동사)+목적어
이때의 동사를
완전타동사라고 부릅니다.
목적어는
동사의 동작을 받습니다.
 
 
4형식
주어+서술어(동사)+간접목적어(~에게)+직접목적어(~을)
이때의 동사를
수여동사라고 부릅니다.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의 자리가 바뀌면
3형식이 됩니다. 
3형식으로 바꿀 때는
자리를 바꾼
두 목적어 사이에
전치사 to, for. of 중
하나를 써야합니다. 
어느 전치사를 쓸지
결정하는 것은
동사입니다.

대부분의 동사들은 4형식에 3형식으로 바뀔 때
to를 사용합니다.

make, buy, get, build, leave, cook, sing 과 같은 단어들은
4형식에서 3형식으로 바뀔 때
for를 사용합니다.

ask는
of를 사용합니다.
 
 
5형식
주어+서술어(동사)+목적어+목적격보어
이때의 동사를
불완전타동사라고 부릅니다.
목적격보어는
목적어와 동일(명사보어)하거나
목적어의 상태를 보충설명 (형용사보어)합니다.
5형식의 목적격보어자리에는
to부정사를 자주 사용합니다.

하지만 본동사가
사역동사(make, have, let)이거나
지각동사(see, watch, feel, smell, notice, hear, listen to)이면
목적격보어자리에는
to부정사는 절대 올 수 없습니다. 
to가 없는 원형부정사나 ~ing(현재분사), p.p(과거분사)가 옵니다.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탄문  (0) 2023.10.01
4형식에서 3형식으로 (얕은 지식)  (0) 2023.05.16
분사/62  (0) 2023.05.13
부가의문문 (중2)/61  (0) 2023.03.28
관계부사/60  (0) 202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