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의 형식 /26

2023. 1. 3. 10:46영문법

어제 약속한 대로
오늘은 문장의 형식에 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그전에
어제 공부한 것을
살짝 복습부터 하겠습니다.

단어란 일정의 의미를 가진
한 덩어리
입니다.
각각의 단어들은
품사를 가집니다.

물론, 이 품사에 매이면
문장 속에서
"자리"라는 것을 배울 때
힘들어집니다.
그러니
단어의 의미를 암기하고
품사를 확인한 후
문장에 사용될 때는
또 다른 개념을
적용하여야 합니다.
그 개념이 바로
"자리"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자리"라는 개념에 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영어는
1형식, 2형식, 3형식, 4형식, 5형식이 있습니다.
형식에 대해서는
이렇게 들어보셨을 텐데
학자들 간의 이견이 많습니다.
7 형식 또는 12형식...
더 많은 형식으로
문장을 분석하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1,2,3,4,5형식만
공부하더라도
거의 모든 문장은 분석이 되고
혹시 조금 복잡하고
꼬인 문장이 있더라도
문법적으로
큰 불편 없이 해결되기 때문에
우리는
(여기서 우리라 함은 2015년 이후 개편된 교과과정을 말합니다.)
5형식을 기본으로 하겠습니다.


영어 문장의 형식은
단어, 구, 절 등등이
주어, 서술어, 보어, 목적어라는
"자리"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
의미를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문장의 의미를 풍성하게 하는
부사는
형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부사는
장소, 방법, 시간을
나타낼 수 있고
동사수식,
형용사수식,
부사수식,
문장전체를 수식할 수 있고

이유, 목적, 원인, 조건, 양보, 결과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1형식은 주어와 서술어만으로
문장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I go to school by bus at 8.
여기서 주어는 I
서술어는 go
나머지는 모두 부사입니다.

장소, 방법,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
거꾸로
"장소" "방법" "시간"을
나타내면
우리는 그것을
부사라고 부릅니다.

to school은
내가 가는 "장소"를
by bus는
내가 학교에 가는 "방법"을
at 8은
내가 버스 타고 학교에 가는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부사는
문장의 형식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부사를 제외하고 나면
이 문장은
I go
주어 서술어만 남습니다.


2형식을
주어 서술어 보어가 있는
문장입니다.
주어 서술어만으로는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아서
보어를 추가한 문장입니다.

I am a student.
I 가 주어
am 이 서술어
a student 가 보어입니다.
a student가 없다면 이 문장은
물음표가 여러 개 생깁니다.

I am????
뭐지?
나는 존재한다. 이 말인가 보네.
그런데 왜 갑자기??
이렇게 되는 겁니다.

그래서 서술어 뒤에
주어를 설명할 말을 쓰는데
우리는 그것을 보어라고 부르고
만약 이 보어가
주어와 동일하면
"명사 보어"

주어를 보충 설명하면
"형용사 보어"
입니다.

I am a student.에서처럼
I 가 a student 와 동일하므로
우리는 a student를
"명사 보어"라고 합니다.
I am happy.에서는
I의 상태를 happy가
설명해주고 있으므로
우리는 happy를
"형용사 보어"라고 합니다.


이렇게
명사 student가
명사 보어로 쓰이고
형용사 happy가
형용사 보어로 쓰이면
문장형식 찾기가 참 쉬울 텐데....
영어문장이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점점 더 빨리
문법을 포기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 "명사 보어"자리
그리고 "형용사 보어"자리는
모두 "보어" 자리입니다.

보어 자리에는
to 부정사(to+동사원형),
동명사(동사원형~ing),
분사가 올 수 있고
이것들은 모두
"구"(= 주어.서술어가 없음)
입니다.
"구" 뿐만 아니라
"절"(=주어.서술어가 있음)도
보어 자리에 올 수 있습니다.



중간에 한 번 정리를 하자면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에는
"구"도 올 수 있고
"절"도 올 수 있는데

그 "구"와 "절"이
주어, 목적어 자리에 오면
무조건 "명사"
그래서
명사자리(주어, 목적어)에 온 "구"와 "절"을
"명사구" "명사절"이라고
부릅니다.

"보어 자리"에는
위에서 보았듯이
I am a student.
I am happy. 처럼
명사도 올 수 있고
형용사도 올 수 있습니다.
명사는
주어와 동일한 것을 가리키는 것이고
형용사는
주어의 상태를 보충 설명하는 것입니다.
이 "보어자리"에 온
"구"와"절에서
주어와 동일한 "구"와 "절"은
"명사구" "명사절"이라
부르고
주어를 보충설명하는
"구"와 "절"을
"형용사구" "형용사절"이라고
부릅니다.




명사 보어 자리에 온 "구, 절"을
명사구, 명사절
이라고 부르고
형용사 보어 자리에 온 "구, 절"을
형용사구, 형용사 절
이라고 부릅니다.

His dream is to be a singer.
에서는
His dream이 주어
is가 서술어
to be a singer가 보어
특히 to be a singer 가
his dream과
동일한 것이므로
"명사 보어=명사구"입니다.


His work is difficult for him to do.에서는
His work(주어)의 상태가 difficult for him to do
그가 해내기에 어렵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difficult for him to do는
"형용사 보어=형용사구"입니다



1,2,3,4,5형식을
다시 간략히 보겠습니다.
우리는
목적어가 있고 없음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누고
보어가 있고 없음에 따라
완전과 불완전으로 나눕니다.

1,2 형식을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
이고
3,4,5형식을
목적어가 있는 타동사


1형식은 (목적어 없고)
보어도 필요 없는 완전 자동사
2형식은 (목적어 없고)
보어는 필요한 불완전 자동사
3형식은 목적어가 필요한
(보어는 필요 없는) 완전 타동사
4형식도 3형식과
같은 상황으로
목적어만 있고
보어가 필요 없는데
3,4형식의 이름을
같게 할 수는 없으니
4형식은 수여 동사
(~에게 ...을 준다)라고
부릅니다.
5형식은
목적어도 보어도
필요한
불완전타동사
입니다.



3,4,5형식의
주어, 목적어, 보어자리에 대한
예시문은
다음 posting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오늘도 건강한 하루 되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