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역동사 지각동사

2023. 10. 3. 14:38영문법

사역동사와 지각동사는 
5형식 동사입니다 
(=불완전타동사)

5형식이란
주어 + 서술어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
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5형식의 서술어(=동사)를 불완전타동사 라고도 부릅니다.

5형식에서는
목적어를 "~을, ~를" 로 해석하지 말고
목적어를 주어처럼 
목적격 보어를 
동사나 보어처럼 해석하는 것이
더 자연스런 방법입니다.
 
I want Tom to study.
나는 Tom이 study하기를 원합니다.
목적어 Tom을
study의 주어처럼 해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I want the room to be cleaned.
She made her friends happy.
My mom allowed me to play games.

목적격 보어 자리에는
형용사, 명사, to 부정사, 원형 부정사 등이 올 수 있습니다.




5형식 문장의 서술어 자리에
사역동사 (make, have, let)이 
사용되면
목적격 보어 자리에는 
to 부정사는 
절대 사용될 수 없습니다.

동사원형, 과거분사 중
알맞은 형태를 골라 
목적격 보어 자리에 
사용해야 합니다.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능동이면
동사원형을 쓰고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수동이면
과거분사를 씁니다.
 
My teacher had me clean the classroom.
Tom made his car fixed.
 

5형식 문장의 서술어 자리에
지각동사 
(notice, feel, smell, hear, see, watch, listen to....)등이 
사용되면
목적격 보어 자리에
to 부정사는 
절대 사용될 수 없습니다.

동사원형, 현재분사, 과거분사 중
알맞은 형태를 골라 
목적격 보어 자리에 
사용해야 합니다.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능동이면
동사원형이나 현재분사를 쓰고
(동사원형일 때와 현재분사일 때의   의미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진행의 의미를 강조하려고 할 때
현재분사를 씁니다)
 
I heard Tom sing a song.
I heard Tom singing a song.
I heard a song sung by Tom.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수동이면
과거분사를 씁니다.
 
(능동 수동은 다른 posting에서
다시 다룰 예정입니다.)
 
목적어와 목적격보어의 관계를
주어 동사로 보고
능동인지 수동인지 확인하면 됩니다.
 
능동은
목적어가 목적격보어를 직접 행동하는 것이고
I heard Tom sing a song.
에서 Tom이 sing합니다
 
수동은
목적어가 목적격보어의 행동을 받는 것입니다.
I heard a song sung by Tom
에서 a song이 Tom에 의해 sung(sing-sang-sung)되어 집니다.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탄문  (0) 2023.10.01
4형식에서 3형식으로 (얕은 지식)  (0) 2023.05.16
문장의 형식 (넓고 얕은 지식)  (0) 2023.05.14
분사/62  (0) 2023.05.13
부가의문문 (중2)/61  (0) 2023.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