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부정사의 명사적용법에 대한 feedback 해결/30

2023. 1. 11. 13:29영문법

to 부정사가 이해가 안 됩니다.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라고 feedback 해주셔서

오늘 또 다시... to 부정사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말투를 "~습니다"로 고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저의 글을
학생들이 읽는다 생각하고
조금은 편한 말투로
"~했지?" "이해되지?"
이렇게 썼는데
성인들의 feedback을 받고 보니...

어쨌든
to 부정사에 대한
제 설명이
부족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시 한번
떠 꼼꼼히 설명해보겠습니다.


동사는
서술어 자리를 차지합니다.
서술어 자리는 동사만
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문법책에서
서술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동사라는 말로
"문장성분"을 표시하는 일이
생기는 겁니다.

"문장성분"인
주어, 목적어, 보어 모두
"~어"
로 끝나는데
유독 서술어 대신
"동사"라는 말을
"문장성분" 중의 하나로
사용하는 이유가
바로
서술어 자리에는
동사만 오기 때문
입니다.


주어+서술어(=동사)
주어+서술어(=동사)+주격보어
주어+서술어(=동사)+목적어
주어+서술어(=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주어+서술어(=동사)+목적어+목적격 보어

이렇듯
문법책에서조차
서술어라는 말 대신
동사를 사용하고 있습
니다.
"서술어 자리에는 동사만 온다."


"동사"라는 말은
품사를 나타낼 때 쓰는 말입니다.
명사, 관사, 형용사, 부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처럼
품사는 모두 "~사"로 끝납니다.

이렇게 "~사"로 끝나는 단어인 "동사"가
문장성분을 나타내는
"서술어"라는 단어를
대신할 수 있는 것은
"동사"만이
서술어 자리에 오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서술어 자리를
혼자 차지하는 동사가
to+동사원형의 형태
명사 자리 (주어, 목적어, 보어, 동격)
형용사 자리(명사수식, 보어)
부사 자리(동사 수식, 형용사 수식, 부사수식, 문장 전체수식, 이유, 목적, 원인, 조건, 양보, 결과)에
오는 것을
우리는
to 부정사
라고
부릅니다.


즉...동사가 앞에 to를 달고
정해지지 않은(부정)
여러 자리에 사용되는 것을
to 부정사라고 합니다.

여기서 부정이란 말은
긍정의 반대말이 아니라
정해지지 않았다 라는 뜻입니다.


to 부정사가
어디에 쓰인다고
설명했을까요?

명사 자리,
형용사 자리,
부사 자리에 쓰입니다.


딩동댕.


그럼 이제
명사 자리를 먼저 보겠습니다.

명사 자리는 주어, 목적어, 보어 (나중에는 동격도 나옵니다) 자리를 말합니다.

명사 자리
= 주어, 목적어, 보어, 동격

먼저 주어 자리를 보겠습니다.
주어 자리에 to 부정사가 오면
(혹은 5형식 목적어 자리에 to 부정사가 오면)
it을 사용합니다.

이때 it을
주어 자리에 사용되어 가주어라고 부릅니다.
(5형식의 목적어 자리에 사용되면 가목적어라고
부릅니다.)
그럼 이때의 to 부정사는
진주어(5형식에서는 진목적어)가 됩니다.


먼저 주어자리부터
살펴보겠습니다.

To study English is important.

to부정사인
to study English가 주어자리에 왔습니다.

즉, to부정사구가 주어자리를 차지했고
주어자리는 명사의 자리이므로
이 to부정사구를 우리는 명사구라고 부릅니다.

to부정사가 주어자리에 있으므로
주어자리에
it (가주어)을 대신 써주고
to부정사(진주어)는
문장 끝으로 보냅니다.

It is important to study English.

이 문장이
To study English is important.
보다
더 좋은 문장입니다.


목적어 자리에 사용되는
to 부정사를 살펴보겠습니다.

I like to study English.
여기서
to study English는 목적어 자리를 차지합니다.

목적어 자리는 명사의 자리이므로
to 부정사구는 명사구입니다.

목적어 자리에 to 부정사를 사용할지 동명사(동사원형+ing)를 사용할지
결정하는 것은 동사(서술어) 입니다.

서술어자리에 enjoy가 오면
to부정사가 아닌
동명사가
목적어 자리에 옵니다.
I enjoy studying English.


My hobby is to study English.
이 문장에서
my hobby = to study English
입니다.
to study English는 my hobby(주어)와 동일한 것이므로
우리는 이것을 보어라고 부르고
보어 중에서도 주어와 동일한 명사 보어 라고 부릅니다.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보어는 형용사 보어라고 부릅니다.)

명사 보어도 명사자리이므로
이 문장의 to study English도 명사구입니다.


I made to study English every day a rule. (x)
5형식인 이 문장에서
to study English every day는 목적어인데

이 목적어 대신에
it(가목적어)을 대신 쓰고
to 부정사구(진목적어)는
문장 뒤쪽으로 옮깁니다.

I made it a rule to study English every day.

이때의 to study English every day도
목적어라는
명사 자리를 차지하므로
명사구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추가로
의미상의 주어에 대해
같이 공부해 보겠습니다.

to study English를 행동할
주어를 써주고 싶다면
to 앞에 목적격을 쓰면 됩니다.

그리고 만약
to 부정사 앞에
동사가 아니라
형용사가 있다면
전치사 for 또는 of를 씁니다.

It is important to study English
여기에
important가 형용사 이므로
to study English 앞에
for +목적격을 쓰면 됩니다.

It is important for me to study English.

important 자리에
다른 형용사 (사람의 성격, 성질을 나타내는)가 온다면
전치사는 of를 씁니다.

It is kind of him to say so.
전치사 of를 사용한 문장은 의미상의 주어를 꺼내어
이렇게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He is kind to say so.

의미상의 주어에 대한
다른 고찰은
I want to study English.
에서는
to study English를 할 사람이
주어인 I 입니다.

그러니 굳이
to study English 앞에
의미상의 주어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만약
그가 to study English 하기를
I가 원한다면
I want him to study English. 라고 쓰면 됩니다.

to study English할 사람이 he(의미상의 주어)라는 뜻이 됩니다.  목적격을 사용해야하므로
him
그래서
I want him to studyEnglish .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