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와 문장성분 (4) 동사

2022. 12. 22. 23:45영문법

지난 시간에 일반동사 부정문까지 했으니
이번에는 일반동사 의문문으로 시작해보자.



일반동사가 4단 변화인 것은 기억하지?
현재-과거-과거분사-현재분사
이 4단 변화에서 현재와 과거만 본동사 자리에 "혼자"올 수 있어.
과거분사와 현재분사는
다른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만 본동사 자리에 올 수 있어. 꼭 기억해.




조동사와 be 동사는 의문문 만들 때
조동사나 be 동사를 주어 앞으로 꺼내기만 하면 돼.
You can play the piano. - Can you play the piano?
He is a singer. - Is he a singer?
이렇게 주어 앞으로 조동사나 be 동사가 나오면 끝~~



그런데 일반동사이면 do, does, did를 사용해야 해.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는 does를 사용하고,
시제가 과거이면 did를 사용하면 돼.
We play the piano. - Do we play the piano?
She plays the piano. - Does she play the piano?
He played the piano. - Did he play the piano?
이렇게 do, does, did를 주어 앞에 쓰고
동사는 동사원형으로 바꾸어주면 돼.



조동사는 동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해.
일반동사 혼자서는 할 수 없는
가능, 의무, 필요, 미래시제 등의 역할도 담당해줘.

딸아이가 준비한 도시라


can "할 수 있다" "해도 좋다"의 과거형은 could 그리고 be able to로 바꾸어 쓸 수 있어.

may"해도 좋다" "~할지도 모른다"의 과거형은 might

must"~해야 한다. " "~임이 틀림없다 "의 과거형은 had to.
must는 have(has) to로 바꾸어 쓸 수 있어.

will 의 과거형은 would. will은 be going to로 바꾸어 쓸 수 있어.

shall의 과거형은 should.
will과 shall은 미래시제를 만들어.

그리고 여기 나오는 조동사의 과거형들은
단순히 과거형으로만 쓰이지 않고 다른 의미를 가지기도 해.



조동사의 특징을 살펴보면
조동사 뒤에는 반드시 동사원형이 와. 조동사 + 동사원형
주어가 3인칭 단수일지라도 조동사에는 s, es를 붙이지 않아. 조동사 원래 모습 그대로 사용해
조동사의 부정문, 의문문 만드는 방법은 be 동사와 같아. (부정문 - 조동사 뒤에 not / 의문문 - 조동사를 주어 앞으로)
조동사는 둘 이상을 겹쳐 쓸 수 없어. 조동사+조동사 (X)
이 규칙들을 기억하면서
조동사 몇 개만 알아보자



먼저 can
can은 능력 / 허가 /~일까(의문문) ~일 리가 없다(부정문=must의 부정) 으로 사용이 돼
Mike can swim very fast. 마이크는 아주 빠르게 수영할 수 있다. (능력)
Can I use this pen? 이 펜을 사용해도 좋습니까? (허가)
허가를 얻고 싶을 때는 can보다 may가 더 공손한 느낌이 들어.
Can it be true? 그게 사실일까?
It can't be true. 그게 사실일 리가 없다. - 그게 사실임이 틀림없다. It must be true.


조동사 중 두 번째로 may를 공부하자.
may는 허가 / 추측으로 쓰여
"~해도 좋다"의 뜻으로 쓰여 (허가)
May I come in? 들어가도 좋습니까?
may not도 must not도 ~해서는 안된다의 의미야.
하지만 must not이 훨씬 강한 의미를 가지지.
"~할지도 모른다"의 뜻으로 쓰여. (추측)
He may arrive at five. 그는 5시에 도착할지도 모른다.
He may not arrive at five. 그는 5시에 도착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조동사 세 번째는 must
must는 필요,의무 / may의 부정 / 강한 추측으로 쓰여.
필요, 의무의 must는 "~해야 한다"로 해석하면 돼
You must go there. 너는 거기에 가야 한다.
이때의 부정은 don't have to~, need not ~할 필요가 없다.를 사용하면 돼.


must not은 "~해서는 안 된다"의 뜻으로 may의 부정이야.
You must not go there. 너는 거기 가서는 안 된다.

이렇게 의미가 강한 must 는 명령문으로 바꿔 쓸 수 있어.
You must do the work at once. - Do the work at once.
You must not go there. - Don't go there.

강한 추측의 의미인 must는 "~임이 틀림없다"로 해석돼
He must be ill. 그는 아픈 게 틀림없다.
Must I~? 로 물을 때, 아니라고 답해주고 싶다면
No, you don't have to. 또는 No, you need not...을 쓰면 돼.



추가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것은
can은 be able to로 바꾸어 쓸 수 있고
must는 have to로 바꿔 쓸 수 있다는 거야
특히 조동사 2개를 겹쳐 쓸 수 없으나 의미는 나타내어야 하는 경우
He will can swim well.처럼 쓰지 말고 (x)
He will be able to swim well. 이라고 쓰면 돼.
have to는 must 대신 쓰면 되는데
must가 가지고 있지 않은 과거시제까지 있어.
have to의 과거시제는 had to.
그리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이면 has to를 쓰면 돼.
I have to start now.
He has to start now.
그리고 다른 조동사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He will must go there. (X)
He will have to go there.



would 와 should도 각각 will과 shall의 과거형으로만 쓰이는 게 아니라
정중한 표현
Would you like a cup of coffee?
과거의 불규칙한 습관을 나타내는 would
규칙적 습관은 used to
I would like to see her.
There used to be a lake.
의무 당연함을 나타내는 should로 쓰여
Should she wait? - Yes, I think she should.
그녀는 기다려야 할까요? - 네, 그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열심히 소리내어 읽어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