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와 문장성분 (3) 동사

2022. 12. 22. 13:42영문법

품사와 문장성분 공부를 대명사까지 했으니 이제 동사를 볼까?

동사는
일반동사, 조동사, be 동사로 나누어 볼 수 있어.
조동사는 동사를 도와주는 동사인데
can, could, may, might, will, would, shall, should, ought to, must 등이 있고
이 조동사 뒤에는 "동사원형"만 올 수 있어.


조동사에 대해서는 다음에 추가로 공부하자.

그리고 be 동사가 있는데
"~이다, ~있다"라는 뜻을 가져.
am, are, is가 현재형이고
am, is의 과거형은 was
are의 과거형은 were를 쓰고
과거분사는 been,
현재분사는 being,
이렇게 4단 변화를 해.
am, are, is - was, were - been - being



잠깐만, 동사의 4단 변화를 모르는 건 아니지?
당연히 알고 있겠지만, 그래도 정리하고 지나가자.

딸아이 솜씨 그리고 방주인의 인스타


조동사를 제외한 be 동사와 일반동사는
현재-과거-과거분사(p.p)-현재분사(ing)
이렇게 4단변화를 해.
be동사는 이미 위에서 봤으니
일반동사를 예로 들어볼게.
운전하다 drive - drove - driven- driving
이렇게 4단 변화를 하고
그중 3번째 것을 과거분사, 4번째 것을 현재분사라고 불러.


얘네 둘은 혼자서는 본동사 자리에 사용되지 못해.
본동사 자리는 순수하게 서술어 자리라는 말이야.
과거분사(p.p)는
have, has와 함께 쓰여서 완료용법으로 쓰이거나
be 동사와 함께 쓰여 수동태 용법으로 쓰여.
그리고
현재분사(ing)는
be 동사와 함께 쓰여서 진행형을 나타내.

이런 용법들도 차근차근 알아가도록 하자.


다시 동사로 돌아가서
얘들아, 동사가 정말 많은 일을 한다는 거 알아?

동사는 그냥 서술어 자리에 오는 거 아닌가요? 라고 하던데
응, 맞어. 서술어 자리는 당연히( of course ) 동사만을 위한 자리야.

그런데 이 "동사"가 앞에 to를 달고 (to+동사원형)
명사 자리, 형용사 자리, 부사 자리에 모두 갈 수 있어.
우리는 이걸 "to 부정사 용법"이라고 해.

또 "동사"가 뒤에 ~ing를 달고 (동사+ing)
명사 자리에 사용될 수 있어.
이건 "동명사"라고 불러.

"분사"라는 용법도 있는데,
이건 "동사"의 4단 변화 중에서
3번째 형태인 과거분사화 4번째 형태인 현재분사가
형용사 역할을 하는 거야.


여기서 현재분사(동사+ing)와 동명사(동사+ing)는
형태가 똑같아서 헷갈릴 수 있는데,
문장에서 어느 자리에 오느냐를 보면
동명사인지 현재분사인지 알 수 있어.

추가로
명사 역할은 명사 자리에 온다는 말이고
형용사 역할은 형용사 자리에 온다는 말이고
부사 역할은 부사 자리에 온다는 말이야.
같은 문법을 서로 다른 용어로 이렇게 저렇게 말하고 있지만 결국 같은 말이야.
책에서 모두 사용되는 용어들이니까 익숙해 지도록 하자.


위에서 말했듯이
동사는 현재-과거-과거분사-현재분사 이렇게 4단으로 변화를 해.
그런데 현재형이 좀 독특한 성격이 있어.
주어에 따라
동사 꼬리에 s나 es를 붙여서 사용하거든.
주어가 3인칭 단수
(3인칭 단수를 쉽게 외워보자
나도 아니고, 너도 아니고, 여럿도 아닌 것을
3인칭 단수라고 해) 이고
시제가 현재시제이면
동사에는 s 또는 es가 붙는다는 말이야.


I play tennis. 인데 I를 He로 바꾸면
He plays tennis.가 되거든.
대부분이 s가 붙거나 es가 붙고,
y롤 끝나는 단어는 y가 i로 바뀌고 es가 붙기도 해.
I study English. She studies English. 이렇게.
I have two cats. 는 She has two cats.
I do my homework.는 He does his homework. 로 바뀌는 거야.
이런 특징을 잘 알고 있어야 해.



시제 부분에 가서 다시 말하겠지만 이 정도는 외우고 가야겠지? 힘내서 ~~

동사를 했으니 부정문 의문문도 같이 해야겠지?
오늘은 먼저
부정문을 하자


조동사와 be 동사 부정문은
조동사, be동사 뒤에 not을 붙이면 돼. 간단하지?
I will not go there. He could not take it. I am not a singer. She is not an artist.
여기서도 보다시피
조동사는 주어가 무엇이든지 간에 모양이 바뀌지 않아.
그리고 조동사 뒤에 오는 동사는 언제나 동사원형이고.
보이지? cans, wills 이런 것도 없고 can runs, will studies 이런건 없다는 말이야.
실수하지 않기!


다시 일반동사로 와서
일반동사 부정문은
일반동사 앞에 don't, doesn't, didn't를 붙이는 거야.
그리도 동사는 동사원형으로 바꿔주고.
현재시제이고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는 doesn't를 쓰고,
동사는 동사원형으로 바꿔주면 돼.
주어가 3인칭 단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제가 현재 일 때는 동사 앞에 don't를 쓰면 돼.
그리고 시제가 과거시제이면
동사 앞에 didn't를 쓰고 동사는 동사원형으로 바꿔주면 돼.


You run in the room. You don't run in the room.
She runs in the room. She doesn't run in the room.
We ran in the room. We didn't run in the room.
문법과 함께 예문을 봤으니 좀 더 이해가 되었을까?


여기서 계속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은
don't, doesn't, didn't 뒤에 동사원형이 온다는 사실이야.
동사원형을 쓰지 않아 문제에서 감점되는 경우가 가장 많거든.

다음시간에는 의문문으로 시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