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와 문장성분 (5) 형용사와 부사

2022. 12. 24. 14:57영문법

명사, 대명사, 동사를 대략 훑어보았고 그 쓰임도 한번 봤으니
이제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형용사와 부사를 볼까?

영어단어의 뜻이 "~ㄴ"이면 거의 대부분 형용사이고
"~히, ~하게"로 되면 부사인 경우가 많아.
그리고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거나,
명사를 수식하는 것은 형용사이고,
문장에서 어떤 역할(문장성분)도 하지 않는 것이 부사야.



부사는 하는 일은 정말 많은데
안타깝게도 문장성분으로서의 역할은 못해.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데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일을 하지.
형용사는 보어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데
부사는 어떤 자리도 차지하질 못해.
대신 부사는 장소, 방법, 시간을 나타낼 수 있고,
이유, 목적, 원인, 조건, 양보, 결과 등등의 의미로 쓰여.



여기서 잠깐!
in / on / at / of / to / for 등등의
전치사라는게 있는데
예들은는 혼자서는 안 쓰여.
얘들은 명사랑 함께 사용 가능해.
"전치사는 명사의 위치를 말해준다." 라고
문법책에 쓰여있을 텐데
그 말은
전치사가 명사랑 함께
문장의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데
그 위치에 따라
이 전치사구 (전치사와 명사의 합체)가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할 수 있다 라는 뜻이야.
중요, 중요.
전치사+명사 가 문장에서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한다.



형용사, 부사는 변화형이 있어
알고 보면 모두 변화형이 있는 것 같애.
명사는 단수-복수 book - books / child - children
동사는 4단 변화 현재 - 과거 - 과거분사 - 현재분사
run - ran - run - running
형용사와 부사는 원급 < 비교급 < 최상급

다시 돌아가서
형용사, 부사는 변화형이 있어.
원급 < 비교급 < 최상급
happy < happier < happiest
beautiful < more beautiful < most beautiful
early< earlier < earliest
many < more < most
little < less < least
이렇게 3단 변화형이 있어.



원급 < 비교급 < 최상급은
~한, ~하게 < 더 ~한, 더 ~하게 < 가장 ~한, 가장 ~하게
이렇게 의미변화를 가지면서
문장이 더 풍부한 뜻을 가질 수 있게 해주는 거야.

비교에 관해서는 다음에 조금 더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형용사에 대한 얘기를 좀 더 하려고 해.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 자리에 쓰인다고 했지?
명사를 수식한다는 말은
명사의 앞이나 뒤에서 그 명사를 꾸며주는 것이고,
이때 이 형용사는 문장성분이 아니라
문장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한 명사를 단순히 꾸며줄 뿐이야.



I am a happy lady. The book written in English is very exciting.
happy는 lday를 꾸며주고, written in English는 book을 꾸며 줘.
이때 happy와 written in English를 지워도 문장형식은 변하지 않아.
이것을 우리는 "명사를 수식한다"라고 하는 거야. (한정용법)


그리고
형용사가 보어 자리에 쓰이는 걸 보자.
I am happy. He is interested in reading books.
happy와 interested가 보어 자리를 차지한 거거든. (서술용법)

이렇게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 자리를 차지하지.
보어 자리를 차지하면
2형식에서는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고
5형식에서는 목적의 상태를 설명하게 돼


2형식. 주어+동사+보어
The lady is excited to watch the drama.
여자가 신나 하는 거야. 그 드라마 보는걸.
이대 excited는 the lady의 상태를 설명하고 있지?
그리고 excited를 지우면 문장형식이 깨어지지?
5형식 주어+동사+목적어+목적격 보어
The result made him happy.
그 결과가 그를 행복하게 만들었어.
him이 happy 한 거야. (happy가 him의 상태를 설명하고 있는 거지.)
이때 him은 목적어이고 happy는 목적격 보어야.
이때도 happy를 지우면 문장형식이 깨어지지?
이게 "형용사 보어"야.
보어가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것.


물론, 2형식의 보어 자리와
5형식을 목적격 보어 자리에
명사도 올 수 있어
그때는 보어가
주어 또는 목적어와 동일한 사물이나 인물이고
우리가 이걸 "명사 보어"라고 불러.
He is a singer. He made Jane a singer.
그가 singer 이고, Jane이 singer이야.

주어, 목적어 자리에는 명사만 올 수 있어.
동사 자리에는 동사만 와. 맞지?
그런데
보어 자리에는
형용사도 올 수 있고 명사도 올 수 있으니
이게 형용사인지 명사인지
잘 봐야겠지?

 


형용사가
명사의 바로 앞이나 뒤에서
명사를 꾸며주는 것을
한정용법이라고 해.
이때는 이 형용사는 사라져도 문장형식이 바뀌지는 않아.
의미가 조금 약해질 뿐이지 문장형식이 바뀌지는 않아.

그런데 형용사 혼자서 보어 자리를 차지했을 때
우리는 이것을 서술용법이라고 부르고
이때의 형용사는 사라지면 문장형식이 깨어져.

형용사를 지워보고 문장형식이 유지되면
그건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용법이고
지웠더니 문장형식이 깨어지네?
그럼 그건 보어 역할을 하는 형용사 용법인 거야.
그런데
분사 있잖아? 과거분사, 현재분사
얘네들도 형용사거든.
얘네들도 형용사처럼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 자리에 온다는 말이지.
분사 공부할 때 또 나오겠지만
형용사 용법이라고 해서
너가 알고 있는 딱 그 정도의 형용사
happy, rich, new, fresh 이런 것만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는 것만 알아둬. 오케이?




그리고 형용사에는 수량형용사라는 게 있어.
수와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인데
many / much / some / any / no / 숫자 등등이 있어

다음 시간에는 여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공부해보자구 ^^